문장의 형식 - 1형식과 2형식
영문법 뿐 아니라~ 세상 모든 언어의 기본은 문장이다. 단어만 뱉어냈을 때에 의사소통이 전혀 불가 하기 때문이다!
말이라는 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것이기에~ 의사소통의 기본은 문장의 형식으로 입 바깥으로 나와야 하는 것이기에~ 문장이 모든 언어의 기본인 것이다.
어떤 언어도, 문장에 형식이 있는 것이다. 우리말도, 남의 말도!
자, 그럼 영문장에 대해 알아보자.
영문법을 어떤 형식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한문장의 말을 해야 겠다 생각하면 부담이 덜하다.
영문장의 전체 형식은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굳이 구분하자면 말이다. 5가지의 문장 기본 형식을 요리 조리 믹스하고 믹스해서 문장을 만들어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우리말도 마찬가지다.
"나는 잔다. 나는 잠이 온다. 나는 잠을 잘 것이다. 나는 곰돌이를 품에 꼭 안고 잠을 잔다. 나는 (네가 잠을 잘 잘 수 있도록) 너에게 곰돌이를 준다."
이렇게 우리말도 이렇게 문장의 형식에 따라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다.
자자, 서론이 넘 길었다.
본론으로 가즈아~
▶ 1형식 - 주어 + 동사 (완전 자동사)
1형식은 쉽다. 주어와 동사만 있어도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 있다는 말이다.
여기에서 동사는 완전 자동사라고 한다. 자동사라는 말은 동사 스스로 있어도 무슨 말인지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완전이라는 말이 붙어- 완전하게 동사 스스로도 의사가 충분히 전달된다는 의미다.
Fire burns.
The earth moves round the sun. (moves 이하는 부사구로 문장의 형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여기서 잠깐! 문장은 가장 기본이 1형식이다. 주어와 동사가 있는 문장을 절/ 그렇지 않고 단어가 연결된 긴 단어조합을 구라고 한다. 편하게 퉁쳐서 이해하기 쉽게 말하자면. 그래서 주어 동사가 없는 문장은 문장에 형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영문 독해시, 요런 단어 조합들은 괄호처리해 나중에 해석해도 된다.
There is a beautiful river (in that village.)
↑ 동사 ↑ 주어 ↑부사구
← 이문장에서 There 는 유도부사라고 하며, 형식상 주어처럼 문장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바지사장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굳이 이 유도부사라는 명칭을 외워둘 필요는 없고, 가짜 주어 ? 혹은 바지사장 주어 ?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 2형식 - 주어 + 동사 + 보어 (불완전 자동사)
2형식은 1형식에 보다 확장된 문장이라 생각하자. 2형식에 동사는 1형식과는 달리, 완전하지 못하다. 불완전해서 뒤에 보어라는 친구를 데리고 와야 한다. 보어라는 말은, 주어를 설명해주기 위해 데려돈 것이다. 동사 하나만으로 주어가 지칭하는 게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설명할 수 없어서, 주어가 무엇인지를 알려주기 위해 보어를 데려온 것이다.
왜 굳이 보어를 데려와야 하냐고 묻는다면, 인간이 표현하고 싶고 전달하고 싶은 의사가 단순하지 않던가? 그 모든 것을 구체적으로 구구절절 이야기하려면.... 문장에서 보어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사설이 길었다.
1) Be 동사 2형식
I am a boy. (명사 보어)
← 이런 문장이 대표적인 2형식이다. a boy 가 보어인데, 보어를 빼버리면, 주어 I 가 무엇인지 알 길이 없다. 이런 문장을 2형식이라고 한다. 영문 독해하다 이런 문장이 나오면 너가 2형식이구나 정도로만 알면 좋다.
I am sleepy. (형용사 보어)
← 이 문장에서 보어는 형용사가 쓰였다. 형용사라는 것은 뭔가를 설명하고 꾸며주는 것인데, 이 문장에서 형용사 보어는 주어가 어떤 상태인지 설명해준다. 내가 졸립다는 상태를 설명해준다.
The book is of no use to me. (형용사구 보어)
← 형용사구 보어다. of no use 숙어로 useless 즉, 소용이 없는 이라는 뜻이다. 전치사가 끌고 있는 of no use 가 The book 을 설명해주며 보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알다시피, to me는 부사구로 문장에 형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런데 형용사구는 왜요? 라고 한다면~ 세상에 모든 법칙에는 예외가 있다. 하지만 부사구는 예외 없이 문장 형식에 아무 도움을 주지 않는다.
The best thing is to study hard. ( to 부정사 보어)
← to study라는 to 부정사 (나중에 부정사에 대해서는 살펴볼 것이다) 보어가 최고의 것이라는 주어를 설명해준다.
My hobby is colleting stamps. (동명사 보어)
← collecting 이라는 동명사 (이것 역시 나중에 살펴볼 것이다) 보어가 나의 취미를 설명해준다.
2) 불완전 자동사 2형식
앞에서 설명했듯이, 불완전 자동사가 오는 2형식 문장을 살펴보자.
He became a teacher. (명사 보어)
He became tired. (형용사보어)
He got sick. (형용사보어)
← 앞에서 이미 설명해서 어떤 보어인지는 두번 설명할 필요가 없고, Become, grow, turn, get, fo, come, run 등의 동사는 ~이 되다 로 해석되면서 주어를 설명해준다. 이런게 불완전 자동사이다.
※ 세상 모든 법칙에는예외가 있는 법!!! become 은 불완전자동사로서 ~이 되다로 해석이 되기도 하지만, ~에 어울리다 로 해석되며 3형식에 쓰이기도 한다. 이런 친구들이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Your dress becomes you. (옷 잘 어울린다) 이렇게 사용된다.
여기에서 끝났다고 생각하면~~ 오산 !!
☞ 또다른 모양의 2형식 문장을 들여다보자.
3) 유사보어
1형식에 쓰이는 완전 자동사인데, 이 녀석들이 2형식에서도 쓰인다는 것이다. 왜 왜 왜, 1형식에서만 나오지, 왜왜왜 2형식에서 나오는지~~ 니가 왜 거기서 나와~~ 우리를 더 복잡하게 하는지~~
의사소통이 그리 쉬운가. 주어가 어떤 상태인지, 어떤 동작을 하면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등을 어떻게 설명할 것이가~ 그래서 유사보어가 나온 것이다.
live, die, go, marry, stand 등이 대표적이다.
He died a beggar.
← 그가 죽었는데, 어떤 상태로 죽었는지를 설명해주려고 이런 문장이 있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그 사람 죽을 때도 부자였다. 야, 그 사람 살아 있을 때 부자였는데 죽을 당시에는 무일푼이었대. 라고 말하는 이 모든 구차함을 "He died a beggar." 로 간결하게 말 할 수 있다. 영어의 아름다움이란, 요~ 간결함!!!
She married young.
← 그 여자가 결혼을 했는데, 어릴 때 결혼했다는 긴 이야기를 짧고 간결하게!
He sat reading the book.
← 그가 앉았는데, 어떤 동작을 하면서 앉았나면 책을 읽으면서 앉는다고 그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설명을 해준다. 흔히 우리가 나태주가 춤추면서 태권도를 해! 라고 말할 때~ 그런 상황들을 설명하려고~!!!
He went home satisfied with the result.
← 그가 결과에 만족해서 집에 갔다~고 그의 상황을 설명할 때!!!
여기까지, 2형식이 무엇인지를 들여다보니, 보어가 보인다.
보어를 가만히 쳐다보고 있자니, 항상 주어를 어떤 식으로든 어떤 방법으로든 설명해주고 있음을 알게 된다!!!
자, 2형식은 이것만 알아두면 된다.
영문법을 알아두는 것은! 의사소통을 위함이고~
입시를 두고 있는 우리에게는 독해와 틀린 문장 골라내기 위함이다 ㅠㅠ
출처 : Man to Man